[5분세계증시] 원·달러 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…1354.9원 마감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세계증시와 우리 증시를 짚어보는 시간 5분 세계증시입니다.<br /><br />연합인포맥스 정윤교 기자 나와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, 국제 경제 취재하고 있는 정윤교 기자입니다.<br /><br />앞으로 시청자 분들께 글로벌과 국내 증시 관련해서 정확한 뉴스 보도해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먼저 우리 증시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정 기자, 오늘 증시 분위기가 상당히 안 좋았다고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 오늘 시장은 어제와는 달리 2% 넘게 빠지면서 바짝 움츠러든 모습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화면 보면서 설명 드리면, 오늘 코스피는 전장 대비 2.28% 하락한 2천415.61에, 코스닥은 전장 대비 2.32% 내린 788.32에 장을 마쳤습니다.<br /><br />오늘 낙폭은 지난 6월 22일 이후 가장 컸는데요.<br /><br />외국인과 기관이 모두 순매도를 보이며 지수를 끌어내렸고, 개인이 물량을 담았지만 역부족이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지로 힘겨운 하루였다고 총평할 수 있겠는데, 업종이나 환율을 짚어볼까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전날 미국 정부가 반도체 기업에 대한 수출 규제에 나선 영향으로 우리 시장에서 반도체 업종이 부진한 흐름을 보였구요.<br /><br />미국의 긴축 경계감으로 외환 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이 장중 한때 1천355원선까지 오르면서 외국인 투자자 수급에 악영향을 줬습니다.<br /><br />또 오늘 오전 우리 정부가 발표한 8월 무역적자는 무려 94억7천만달러로 66년 만에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고, 14년 만에 처음으로 5개월 연속 적자를 나타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무역적자 확대는 원화가 추가로 약세를 보일 수 있는 요인이기 때문에 이 역시 시장에 악재로 작용했습니다.<br /><br />크게 보면 미국발 긴축 공포가 글로벌 시장을 집어삼키고 있는 흐름인데, 밤 사이 미국 시장은 어땠습니까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 미국 시장도 지난 주말 잭슨홀 회의 이후 이번주에 계속해서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간밤 뉴욕 증시는 4거래일 연속 하락 마감하면서 지난 써머 랠리에서 오른 부분을 절반 가까이 반납했습니다.<br /><br />다우지수는 전장보다 0.88% 하락했고, S&P500지수는 전장 대비 0.78%, 나스닥지수는 전장 대비 0.56% 밀렸습니다.<br /><br />ADP가 발표한 미국의 8월 민간 부문 고용이 시장 전망에 크게 못미치면서 장 초반엔 인플레이션이 좀 진정되는건가 하는 기대로 시장이 살아나는가 싶었지만,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1% 넘게 빠지면서 하락장을 주도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의 통화 긴축에 따른 우려가 계속 시장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보면 되는 건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 오늘 새벽에도 연준 당국자들이 계속 강경한 매파 발언을 이어가면서 시장은 긴축 우려를 떨치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간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는 연설에서 "연준이 내년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하지 않는다", "금리를 내년 초까지 4%보다 높은 수준으로 올려야 한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시장에서는 연준이 이번달 FOMC에서 3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, 그러니까 0.75%포인트 금리 인상에 나설지, 아니면 빅스텝, 0.5%포인트 금리 인상을 밟을지를 두고 의견이 엇갈렸는데요.<br /><br />이제 연방기금 금리 선물 시장에선 연준이 내달 FOMC에서 금리를 0.75%포인트 인상, 그러니까 자이언트 스텝을 밟을 것이란 가능성을 70% 이상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와 함께, 아직은 미국 경제가 경기침체에 빠지지 않았지만 올해 안에 경기가 침체 국면으로 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면서 미국 채권시장에서는 장단기 국채 수익률 역전 현상도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시장 상황이 전반적으로 점점 어두워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앞으로 약세장이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당분간 시장은 억눌린 흐름을 보일 것이란 전망이 많습니다.<br /><br />국내 시장의 베어마켓랠리는 일단락됐다는 평가가 지배적인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원달러 환율이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고, 그동안 우리 시장을 지탱해줬던 외국인의 순매수도 매도세로 전환되면서 시장을 괴롭힐 가능성이 있습니다.<br /><br />일단 미국과 유럽의 가파른 금리 인상 가능성, 그리고 여기에 우리 기업들의 실적 부진까지 관측되면서 전문가들은 지수 상단이 제한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증권업계에 따르면 올 하반기 국내 주요 상장사의 절반 이상은 올해 초와 비교해서 실적이 급감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이런 악재들이 시장에 점차 반영되면서 지난 6월처럼 급락세를 연출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약세장이 계속될 수 있다, 그러나 급락세까지는 아닐 것 같다.<br /><br />그럼 내일 눈여겨볼 일정으론 뭐가 있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내일은 한국과 미국에서 각각 중요한 경제지표를 발표합니다.<br /><br />먼저 한국에선 8월 소비자물가지수가 나올 예정이어서 시장의 주목도가 높습니다.<br /><br />추경호 부총리는 8월 물가지수가 6%를 넘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는데요.<br /><br />앞서 지난 7월에 한국의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6.3% 오르면서 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11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8월 물가지수가 7월의 상승률인 6.3%를 뛰어넘을지, 아니면 시장의 예상대로 정점을 찍고 다소 내려올지가 관건입니다.<br /><br />다음으로 미국에서는 고용시장 상황을 알 수 있는 8월 고용 보고서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이번 고용 지표는 내달 FOMC를 앞두고 연준의 금리 인상 폭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라서 이번주 최대 관심 지표로 꼽히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고용 지표가 양호하게 나오면 연준이 큰 폭의 금리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엔 더욱 힘이 실리게 됩니다.<br /><br />다만 백악관 측에선 이번 고용지표가 예상보다는 다소 부진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금까지 5분 세계증시였습니다. 정윤교기자 잘 들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